마태복음 11장 28-30절
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.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이는 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벼움이라 하시니라
우리는 살아가며 누구나 ‘짐’을 지고 살아갑니다. 이 짐은 때로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, 마음과 영혼에 무겁게 얹혀 있는 것들입니다.
예수님께서 말씀하신 ‘수고’와 ‘무거운 짐’은 단순히 육체적인 피로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. 그것은 우리가 삶 속에서 끊임없이 짊어지고 있는 불안과 염려, 죄책감, 완벽에 대한 강박, 사람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, 그리고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내려는 고된 몸부림입니다. 즉, 그 짐을 혼자의 힘으로 지고 가려는 데서 오는 수고와 무거움입니다. 율법의 무게, 종교적 의무감, 세상이 요구하는 성공 기준과 같은 것들이 인간의 어깨를 짓누릅니다. 이 짐은 스스로 벗어낼 수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에 더욱 무겁습니다.
하지만 예수님은 다른 멍에와 짐을 제시하십니다. “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볍다”고 하시고, 그분의 멍에를 메고 배우라 하십니다.
예수님의 멍에란 그분과 함께 걷는 삶을 의미합니다. 이는 우리 혼자서 짐을 지는 것이 아니라, 예수님이 우리 곁에서 함께 멍에를 메고 걸어가신다는 뜻입니다. 그 멍에는 율법을 이루신 주님의 은혜 안에서 순종하는 것이며, 그 짐은 주님의 사랑을 받은 자들의 자발적인 희생과 섬김입니다. 예수님은 우리에게 짐을 아예 없애주신다고 하지 않으셨습니다. 하지만 그분의 멍에와 짐은 “쉽고 가볍다”고 하셨습니다. 왜냐하면 그 짐은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주어지는 것이며, 그 안에는 온유와 겸손, 용서와 자비, 성령의 도우심과 평안이 함께하기 때문입니다. 참된 쉼은 짐이 없을 때가 아니라, 예수님과 함께 짐을 질 때 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. 예수님과 함께 짐을 진다는 것은 주님이 말씀하신 대로 '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것'입니다. 그러한 자들에게 예수님은 "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이는 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벼움이라” 고 말씀하십니다.
우리는 자주 “내가 감당해야 해”라고 말하며 자신을 채찍질합니다. 또 자신의 힘으로 죄의 세력을 이겨보려고 애쓰다고 주저앉곤 합니다. 그러나 예수님은 “내게 오라”고 말씀하십니다. 사실 주님의 이 부르심은 급하고 애타는 것입니다. 자신을 파괴하고 있는 위험한 순간으로부터 속히 나와서 부모의 보호 아래로 들어오라는 외침과 같은 것입니다. 주의 자녀들은 매일 매일 '내게로 오라'하신 주님의 부르심을 듣습니다. 그 부르심을 겸손한 마음으로 받고 확신 가운데 순종하는 하루 하루가 되기를 기도합니다.
'하루를 시작하는 말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상의 영성 - '성령을 따르는 하루' (0) | 2025.04.26 |
---|---|
일상의 영성 - '청지기 의식' (0) | 2025.04.25 |
일상의 영성 - '부활의 증인으로, 부활의 능력으로' (1) | 2025.04.22 |
일상의 영성 - '이미 주어진 능력으로 살기' (1) | 2025.04.18 |
일상의 영성 - '믿음에 대한 응답' (2) | 2025.04.17 |